대상포진은 대표적으로 신경을 따라 발생되는 수포를 뜻합니다.
찬바람을 맞게 되면 같은 질환이라도 더 힘든 게 대상포진인데요, 통증도 더 심해지고
다음 해가 되어도 또다시 반복되지도 합니다.
대상포진은 바이러스가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보통은 수일 사이에 피부에 발진과 특징적인 물집 형태의 병변이 나타나고
해당 부위에 통증이 동반됩니다.
어릴 떄 수두를 앓은 적이 있다면 성인이 되어 면역력이 떨어질 때
대상포진으로 발병합니다. 그래서 이런 수포가 생겼을 때 수포에 접촉하거나
수두처럼 공기 중의 바이러스 전파를 통해 감염이 됩니다
젊은 사람에서는 드물게 나타나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6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발병합니다
수포는 10-14일 동안 변화는 데 고름이 차면서 탁해지다가 딱지로 변합니다
접촉 등에 의해 물집이 터지면 궤양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보통 2주 정도 지나면
딱지가 생기고 증상이 좋아집니다. 피부의 증상이 모두 좋아진 후에도 아플 수 있는데
노인환자의 약 30%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통증이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는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투여가 급성기 대상포진의 표준이 되고 있으며
전신 또는 국소적인 스테로이드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통증에 대해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등 사용을 고려할 수 있고
항경련제와 항우울제의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한 경우
신경 블록을 시행하는 것이 증상의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 자가면역질환이 있으시거나 면역력이 많이 약해진 상태라면
대상포진이 지각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 국한되지 않고 전신의 피부에 나타나기도 하며
뇌수막염이나 뇌염으로 진행하거나 간염이나 폐렴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바이러스느 잠복 상태로 몸속에 계속 존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재활성되면
다시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병원에서 미리 예방주사를 맞을 수 있도록 권고하기도 합니다
'오늘 부터 조금씩 건강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 면역질환이란? 무엇인가요 (1) | 2024.11.04 |
---|---|
가을 환절기 질환 예방법! 하나씩 해보세요 (2) | 2022.09.13 |
댓글